'Study/E&I Engineering'에 해당되는 글 6건
- 2018.04.18 MCT (Multi Cable Transit)
- 2018.04.16 (재질)CRES란?
- 2018.04.14 Temperature classification
- 2018.04.05 LEL & UEL
- 2018.04.04 플랜트에서의 폭발의 3요소
- 2016.07.28 SUS316과 SUS316L 그리고 AISI
Cable이 한구역에서 다른 구역으로 벽이나 바닥같은 구조물을 관통할 때 Cable주변을 감싸는 자재이다. 배관이나 튜빙같은 자재도 이용하기도 한다.
구성은 Insert block, Wedge, Frame등으로 구성된다. 표현은 업체별나 작업자 별로 다른 표현을 쓰기도 하는 것 같다
빌딩부터 선박이나 플랜트 등지에 간섭된다.
주기능은 Gas Tight, Water Tight, 폭발이나 화재방지 역할도 있어야 한다.
나는 Roxtec과 Brattberg사 경험이 있다. 그 중 전자의 회사제품 사용 빈도가 있었고 양파껍질처럼 Insert Block 을 벗길 수 있어 케이블 공차에 편리한 면이 있었다.
1. 자재 수량 정확도
현장의 케이블 포설 상황이나 설계정확도 그리고 케이블 OD의 공차를 고려하면 자재 수량 예상하기가 만만치는 않다. 업체에서 제공하는 계산 프로그램이 있어 정확도를 높일 수는 있지만 그만큼 부지런해야 한다.
2. Fire rating
H60이나 A60같은 화재 관련 요구 상황이 주어지기도 하며, 보통 큰 업체들은 관련 Cert를 다 보유하고는 있지만 자재주변으로 추가 Insulation이 요구하니 유관 부서담당자들과 사전에 협의가 필요하다.
3. Frame 방향
Insert Block을 넣는 방향이 존재하는 타입이 있을 수 있으니 도면 표기시 주의해야 한다.
4. 방폭
Case별로 방폭 서트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 가격이 높고 Lead time이 길기 때문에 사전에 확인이 필요하다.
5-1. 그 외 Sealant type
Sealant type의 Beele사 Rise라는 제품과 Fireseal사 제품 경험있다.
전자는 내부 충전재가 Sleeve형태이고, 후자는 내부 충전재가 솜같은 재질이다.
내부충전재가 주로 화재에 대응하고 외부충전재는 주로 물이나 가스타이트에 대응한다.
Cable이 Overfill발생할 경우, 퍼포먼스가 떨어지기 때문에 Overfill 체크가 중요하다.
5-2. 그 외 Compound
일본산 Compound 형 제품이 있다. 포장된 겉모습은 어릴 적 찰흙같지만 시멘트처럼 단단하게 굳는다. 아무래도 설치 이 후 케이블 추가 시공 시 어려움이 예상된다.
하지만 결국 발주처의 성향이나 가격, 리드타임, 현장설치 용이 등을 고려해서 자재를 설치해야 할 것이다.
CRES는 Corrosion Resistant Steel의 약자이다.
통상 Stainless Steel을 지칭하며, 항공 분야에서 종종 사용되는 용어이다.
일반적으로 IEC를 따르는 장비들은 6등급의 온도 등급을 설정하여 기준으로 삼고 있다. (단, 광산 쪽은 별도로 적용)
예) T1 class 장비는 AIT가 450도가 넘는 메탄 가스 구역에서 사용 가능하다.
T2 class 장비는 AIT가 300도가 넘는 에탄올 구역에서 사용가능하지만
450도가 넘는 메탄 가스 구역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결국 Class가 클수록 낮은 점화온도의 물질에서 적용가능하다.
T6 장비는 85도가 넘는 장비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AIT가 90도인
carbon dispulphide의 경우는 T6만 사용이 가능하다.
공기와 Gas/Vapour의 혼합물은 폭발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물질별로 넓은 제한 범위가 있습니다.
해당 볼륨의 가장 낮은 제한 범위가 LEL(Lower Explosive Limit)이고 가장 높은 제한 범위가 UEL(Upper Explosive Limit)입니다.
만약 가연성 Gas/Vapour의 볼륨이 LEL보다 낮으면 폭발하기에는 너무 적은 양이고,
UEL보다 높으면 폭발하기에는 너무 많은 양입니다.
UEL=UFL(Upper Flammable Limit) / LEL=LFL(Lower Flammable Limit)
1. Air (Oxygen)
: 공기 중의 산소는 촉매의 역할을 함 (21% 기준)
2. Ignition Source
: 점화원으로 스파크, 정전하, 열원, 화학 반응, 에너지(200uJ)
3. Explosive
: 폭발물로 가스, 유증, 먼지 등
*IEC에서 주요 점화원
: Hot Surface, Flames and hot gases, Electrical apparatus, Stray electric currents, Static electricity
Lightning, RF electromagnetic wave, Ionizing radiation, Ultrasonic, Exothermic reaction, etc.
*Flammable material - liquid, vapour, gas and mist.
Combustible material - dust, fibres and flyings.
Cable Tray 재질 선택
SUS316과 SUS316L
316에서 왜 316L로 많이 넘어갔을까?
기본적으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부식이 강하지만, 316L의 경우는 탄소량이 적게 함유되어 부식에 조금 더 강하다. 여기서 "L"은 “Low Carbon”이라는 뜻이다. 탄소를 낮춘 강을 통상 “L grade”라고 한다. (탄소량이 증가할수록 경도와 강도가 증가)
가장 유명한 스테인리스강인 304와 316계열의 차이는 316에서 Mo(몰리브덴)을 첨가하여 내식성을 강화시킴.
AISI는 American Iron and Steel Institute의 약자이다. 스테인리스의 300계열과 400계열 넘버링을 주관하는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