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re rating'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8.04.18 MCT (Multi Cable Transit)
2018. 4. 18. 15:54

MCT (Multi Cable Transit)

MCTMulti Cable Transit에 약자이다.

Cable이 한구역에서 다른 구역으로 벽이나 바닥같은 구조물을 관통할 때 Cable주변을 감싸는 자재이다. 배관이나 튜빙같은 자재도 이용하기도 한다.

구성은 Insert block, Wedge, Frame등으로 구성된다. 표현은 업체별나 작업자 별로 다른 표현을 쓰기도 하는 것 같다

빌딩부터 선박이나 플랜트 등지에 간섭된다.

주기능은 Gas Tight, Water Tight, 폭발이나 화재방지 역할도 있어야 한다.

나는 RoxtecBrattberg사 경험이 있다. 그 중 전자의 회사제품 사용 빈도가 있었고 양파껍질처럼 Insert Block 을 벗길 수 있어 케이블 공차에 편리한 면이 있었다.

1. 자재 수량 정확도
현장의 케이블 포설 상황이나 설계정확도 그리고 케이블 OD의 공차를 고려하면 자재 수량 예상하기가 만만치는 않다. 업체에서 제공하는 계산 프로그램이 있어 정확도를 높일 수는 있지만 그만큼 부지런해야 한다.

2. Fire rating

H60이나 A60같은 화재 관련 요구 상황이 주어지기도 하며, 보통 큰 업체들은 관련 Cert를 다 보유하고는 있지만 자재주변으로 추가 Insulation이 요구하니 유관 부서담당자들과 사전에 협의가 필요하다.

3. Frame 방향
Insert Block을 넣는 방향이 존재하는 타입이 있을 수 있으니 도면 표기시 주의해야 한다.

4. 방폭
Case별로 방폭 서트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 가격이 높고 Lead time이 길기 때문에 사전에 확인이 필요하다.

5-1. 그 외 Sealant type
Sealant type의 Beele사 Rise라는 제품과 Fireseal사 제품 경험있다.

전자는 내부 충전재가 Sleeve형태이고, 후자는 내부 충전재가 솜같은 재질이다.

내부충전재가 주로 화재에 대응하고 외부충전재는 주로 물이나 가스타이트에 대응한다.

Cable이 Overfill발생할 경우, 퍼포먼스가 떨어지기 때문에 Overfill 체크가 중요하다.

5-2. 그 외 Compound
일본산 Compound 형 제품이 있다. 포장된 겉모습은 어릴 적 찰흙같지만 시멘트처럼 단단하게 굳는다. 아무래도 설치 이 후  케이블 추가 시공 시 어려움이 예상된다.

하지만 결국 발주처의 성향이나 가격, 리드타임, 현장설치 용이 등을 고려해서 자재를 설치해야 할 것이다.